전문증거 예외, 언제 인정받지 못할까? 핵심 판례로 보는 증거능력 배제 기준

 

법정 밖에서 한 진술, 언제 증거로 인정되지 않을까요? 형사소송법은 원칙적으로 법정 밖 진술(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합니다. 진실 규명을 위해 예외를 인정하기도 하지만, 그 문턱은 매우 높습니다. 대법원 판례를 통해 전문증거 예외가 인정되지 않는 구체적인 상황과 그 이유를 심도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지난번 글에서 ‘전문증거 예외 인정’ 판례를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반대의 경우, 즉 ‘들은 이야기’가 증거로 인정받지 못한 사례들을 알아볼까 해요. 재판의 공정성을 위해선 원칙이 중요합니다. 증거능력은 함부로 허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거든요. 증거능력이 배제되는 경우는 어떤 때인지, 대법원은 어떤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

전문증거 증거능력 배제의 원칙 ⚖️

 

형사소송법은 왜 전문증거를 함부로 인정하지 않을까요? 바로 ‘직접심리주의’와 ‘반대신문권 보장’이라는 형사소송의 대원칙 때문입니다. 피고인 앞에서 원진술자가 직접 증언해야만, 진술의 진실성을 면밀히 따져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원칙을 훼손할 수 있는 전문증거는 매우 엄격한 요건 하에만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것입니다.

대법원 판례로 본 배제 기준 📜

 

대법원은 전문증거의 예외를 인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바로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특신상태)’입니다. 이 ‘특신상태’는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를 배제할 정도’로 엄격하게 증명되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대법원 2011도12 판결). 다음은 이 특신상태가 인정되지 않아 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이 배제된 대표적인 판례입니다.

사례: 대법원 2023. 10. 26. 선고 2023도7301 판결 📝

피고인의 마약류 투약 혐의에 대한 재판에서, 경찰관이 “피고인이 자백했다”는 취지로 법정 증언을 했습니다. 이는 피고인의 법정 밖 진술을 다시 전달한 ‘전문진술’에 해당합니다. 대법원은 이 증언의 증거능력을 부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특신상태 불인정: 피고인이 자백한 경위에 대해 경찰관의 증언 외에 별다른 객관적인 자료가 없었습니다.
  • 2. 위법성 배제 실패: 마약 투약 혐의를 추궁하는 과정에서 피고인에게 미란다 원칙이 제대로 고지되지 않았고, 임의성 없는 자백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 판례는 특신상태를 증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보여줍니다. 단순히 “피고인이 자백했다”는 진술만으로는 부족하며, 그 진술이 이루어진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증명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다른 배제 판례의 중요 포인트 ⚠️

 

위 사례 외에도 대법원은 다양한 상황에서 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해왔습니다.

⚠️ 주의하세요!

  • 증거의 위법성: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수집된 증거는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이 없습니다.
  • 작성자의 진정성립 부인: 진술조서를 작성한 사람이 법정에서 “내 진술조서 내용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하면, 그 조서는 증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일관성 없는 진술: 여러 번의 진술이 서로 상충되거나 일관성이 없으면, 특신상태가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

Q: 왜 재판에서는 ‘들은 이야기’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A: 👉 증거능력 없는 ‘들은 이야기’가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재판의 심증 형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변호인은 증거능력이 없음을 적극적으로 주장해야 합니다.

Q: 모든 문서가 전문증거에 해당하나요?
A: 👉 아닙니다. 증거로 제출된 문서의 내용이 아닌 ‘존재 자체’가 증거가 되는 경우는 전문증거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협박 편지를 보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편지 원본을 제출하는 경우, 편지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으므로 전문증거가 아닙니다.

전문증거는 복잡하고 어려운 법률 영역이지만, 한마디로 ‘진실을 검증할 수 없는 증거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이해하면 그 핵심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 판례에서 보듯이, 재판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한 법원의 엄격한 판단이 바로 여기에 담겨있는 것이죠. 이 글이 여러분의 법률 상식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

전문증거, 전문증거 예외, 전문법칙, 증거능력, 대법원 판례, 형사소송법, 특신상태, 증거 배제, 법률 상식, 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