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형사법 관련 헌법소원과 헌법재판소의 판단

 

국제형사법 관련 법률이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할까요? ‘국제형사법’은 단일 법률이 아닌 법 분야를 의미하며, 국내에서는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헌법재판소는 이 법률이 헌법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국제법 존중 의무와 함께 헌법상 기본 원칙을 균형 있게 고려해왔습니다.

전쟁범죄나 집단살해처럼 인류의 양심을 뒤흔드는 범죄들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섭니다. 이런 범죄들을 처벌하기 위해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설립되었고, 우리나라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죠. 그런데 “우리나라 법이 아닌데, 국제재판소의 규칙을 따라야 할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봤을까요? 🧐 국제형사법과 관련된 헌법적 쟁점들을 판례를 중심으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국제형사법의 헌법적 근거와 국내법 수용 🏛️

우리나라 헌법 제6조 제1항은 “헌법에 의하여 체결·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국제형사법이 국내에서 효력을 가질 수 있는 헌법적 기반입니다. 한국은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 근거가 된 **‘로마 규정’에 가입**함으로써,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는 국제법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러한 로마 규정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이 바로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입니다. 이 법은 집단살해,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등을 처벌하고, 국제형사재판소와의 사법 공조 절차를 규정합니다.

💡 알아두세요!
국제형사재판소는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국가의 주권적 사법권이 우선합니다. 즉, 자국이 해당 범죄를 처벌할 의사나 능력이 없을 때에만 ICC가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요 헌법소원 쟁점 및 헌법재판소의 판단 ⚖️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에 제기될 수 있는 헌법적 쟁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죄형법정주의 위반 여부: 국제형사법의 일부 규정은 국내 형법 규정보다 추상적이거나 포괄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죄를 규정하고 형벌을 정하는 것은 법률로 정해야 한다’는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 이중처벌금지 원칙 위반 여부: ICC와 국내 법원이 동일한 행위에 대해 처벌을 시도할 경우, 헌법상 **이중처벌금지 원칙**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 재판청구권 침해 여부: ICC가 한국 국민을 재판하는 과정에서 국내 헌법이 보장하는 재판청구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주장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핵심 조항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을 내린 주요 판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헌재는 국제법 존중 의무와 국내 헌법 원칙 간의 조화를 추구하며, 이 법률이 국가의 정당한 입법권 행사이자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Q: 국내 형사 사건과 국제형사재판소 사건이 충돌할 수 있나요?
A: 👉 원칙적으로는 국내 법원의 관할권이 우선합니다.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국가가 자체적으로 처벌하지 않거나 못하는 경우에만 국제형사재판소가 개입하게 됩니다.

Q: 국제형사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람이 국내에서 다시 처벌받을 수 있나요?
A: 👉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이중처벌금지 원칙을 존중하며,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이미 확정판결을 받은 경우 국내에서 다시 처벌받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제형사법, 헌법소원, 헌법재판소, 위헌 여부,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 죄형법정주의, 보충성의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