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술이 거짓이어도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판례 해설)

 

증언 내용이 사실과 달라도 위증죄가 아니라고요? 법원의 증언대에서 한 진술이 객관적 사실과 다르더라도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엄격한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은 실제 판례들을 자세히 분석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재판에서 증언하는 일이 생겼을 때, 혹시라도 기억이 틀리거나 사실과 다르게 말하면 위증죄로 처벌받는 건 아닌지 걱정되셨죠? 많은 분들이 ‘법정에서 거짓말하면 무조건 위증죄’라고 생각하시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 법원은 위증죄 성립에 대해 매우 엄격하고 신중하게 판단하거든요. 단순히 사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처벌하지는 않아요. 오늘은 증언 내용이 객관적 사실과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은 흥미로운 판례들을 통해 그 이유를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법의 판단 기준을 함께 살펴보며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해 볼까요? 😊

위증죄 성립의 핵심, ‘허위성’의 엄격한 기준 🔎

위증죄가 성립하려면 크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법률에 따라 선서한 증인이,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허위의 진술’을 하고, 그 진술이 재판의 결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에 관한 것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핵심은 바로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진술’이라는 점인데요. 즉, 증인 스스로는 진실이라고 믿고 증언했지만 객관적으로는 사실과 달랐다면 위증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기준이 왜 중요한지 판례를 통해 확인해 볼게요.

핵심 판례로 분석하는 ‘위증죄 불성립’ 사례 📝

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도4169 판결 📝

사건 내용: 피고인 A는 한 회사에서 횡령 사건에 대해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A는 자신이 횡령한 사실을 모르고 있다고 증언했으나, 객관적으로는 A가 횡령 사실을 충분히 알았을 것이라는 정황 증거들이 존재했습니다. 검찰은 A가 허위 증언을 했다고 보고 위증죄로 기소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위증죄는 증인이 자기의 기억에 반하는 진술을 할 때 성립하는 것이지, 객관적 사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위증죄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시했습니다. 당시 A가 자신의 기억으로는 정말 횡령 사실을 몰랐다고 믿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증인의 ‘주관적 진실’이 더 중요한 기준이 된 사례입니다.

시사점: 이 판결은 위증죄의 ‘허위성’을 판단할 때, 증언 내용이 객관적인 사실에 부합하는지 여부보다 증인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대법원 2010. 12. 9. 선고 2010도2818 판결 📝

사건 내용: 피고인 B는 공범 C의 재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여 “C로부터 범죄 사실에 대한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습니다. 하지만 검찰 조사 결과, B가 과거 C와 함께 범죄를 계획했던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검사는 B의 진술이 허위라며 위증죄로 기소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B가 증언한 “C로부터 범죄 사실을 들은 적이 없다”는 진술이 객관적 사실과 다르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B가 C와 범죄를 계획했더라도, 그 계획을 ‘C에게서 들었다’고 기억하는지 여부는 다른 문제라는 것입니다. 즉, B가 자신의 기억으로는 C에게서 직접 듣지 않았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시사점: 이 판결은 위증죄의 허위성을 판단할 때 증인의 기억 내용에 대한 정확한 입증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줍니다. 검사가 증인의 기억에 반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지 못하면 위증죄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 알아두세요!
비록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더라도, 법정에서 불성실하거나 오해를 살 수 있는 진술을 한다면 재판부의 신뢰를 잃고, 이는 재판 결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진술 거부권이 없는 증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증언을 거부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위증죄 불성립의 핵심 원인

주관적 판단: 증인의 기억에 반하지 않는 진술
증거 부족: 허위성 입증 실패
경미한 사실: 재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사소한 내용
진술의 모호성: 기억이 불분명한 경우

자주 묻는 질문 ❓

Q: 객관적인 사실과 다른 증언을 했는데, 왜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나요?
A: 위증죄는 ‘자신의 기억에 반하는 진술’을 했을 때 성립합니다. 따라서 증인이 객관적 사실과 다르더라도 본인 기억으로는 진실이라고 믿었다면 위증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Q: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부정확하게 증언하면 위증죄인가요?
A: 아닙니다. 기억이 불분명하여 진술이 모호하거나 부정확한 것은 허위 진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솔직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Q: 위증죄로 고소당했는데, 증인으로 출석하는 것을 거부해도 되나요?
A: 증언 거부권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을 거부하면 구인장 발부 또는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증죄 불성립, 위증죄 판례, 증인 위증, 증언의 허위성, 대법원 판례, 형법, 위증죄 요건, 법률 상식, 법정 증언

위로 스크롤